[내가 쓴 코드]
site = "http://naver.com"
site_name = site[7:12]
print("생성된 비밀번호 : "+ site_name[:3] +str(len(site_name))+str(site_name.count("e"))+"!")
[나도코딩이 쓴 코드]
url = "http://naver.com"
my_str = url.replace("http://", "") #replace함수를 이용해 공백으로 만듦 > 규칙1
my_str = my_str[:my_str.index(".")] #my_str에 들어간 문자열 중에서 "."의 직전까지 슬라이싱 > 규칙2
password = my_str[:3] + str(len(my_str))+str(my_str.count("e"))+"!"
print("{0}의 비밀번호는 {1} 입니다.".format(url, password))
[해결]
1.url을 따로 변수로 설정하여 어떠한 값을 넣어도 동일한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함수 정리해야함.
2.index함수의 활용을 익혀야 함.
3.문자는 따옴표, 숫자는 str()으로 감싸는 것 잊지 말아야함.
[다시 쓴 코드]
url = "http://naver.com"
url_name = url.replace("http://", "") #규칙1 해결
url_name = url_name[:url_name.find(".")] #규칙2 해결
password = url_name[:3] + str(len(url_name)) + str(url_name.count("e")) + "!"
print(f"{url}의 비밀번호는 {password} 입니다.")
[처음 쓴 코드와 다른 점]
1. replace함수 이용해서 변수 정리
2. index와 동일한 find 함수를 사용하여 변수 정리
3. 변수를 다시 정리하여 다른 사이트에서도 동일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정리
4. print(f"")함수를 이용하여 변수값을 print문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함
*이 글은 유튜브 나도코딩의 강의를 듣고 작성한 강의노트입니다.*
반응형
'Study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코딩] 파이썬 강의_퀴즈6 (0) | 2021.10.17 |
---|---|
[나도코딩] 파이썬 강의_퀴즈5 (0) | 2021.10.16 |
[나도코딩] 파이썬 강의_퀴즈4 (0) | 2021.10.12 |
[나도코딩] 파이썬 강의_퀴즈2 (0) | 2021.10.09 |
Python(파이썬) 설치 방법 (0) | 2021.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