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class note
python / 텍스트 파일 읽기(read() )
chanzae
2021. 12. 29. 16:46
134 텍스트 파일을 읽고 출력하기(read)
텍스트 파일을 읽고 그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고자 하면 제일 먼저 텍스트 읽기 모드로 파일을 엽니다. 텍스트 파일을 오픈하면 텍스트 파일을 읽어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면 됨.
f = open("c:\\data\\jobs.txt", encoding = 'utf8')
data = f.read() # 파일을 한번에 전부 읽어오는 함수가 read()이고 data변수를 문자형으로 생성
print(data)
f.close() # 열었던 파일을 닫으면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가 정리됨
위에서 가져온 스티브잡스 연설문 파일(jobs.txt)은 크기가 작아서 굳이 닫을 필요는 없지만 보통 대용량 텍스트 데이터들은 닫아줘야함. close() 써서 닫아주는 습관 들일 것.
너무 큰 텍스트인 경우에는 read()로 한꺼번에 파일의 내용을 읽어들이는 것은 메모리 부족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음. 그래서 큰 텍스트인 경우에는 read()함수보다 readline() 함수를 사용하는게 바람직.
문제400. 중앙일보 기사(mydata3.txt)에는 '빅데이터'라는 단어가 몇 번 나오는지 count 하시오.
a = open("c:\\data\\mydata3.txt", encoding = 'utf8')
data = a.read()
print(data.count('빅데이터')) # 11
ㅇ문자열 함수 복습
1. 문자열.isalpha()
2. 문자열.isdigit()
3. 문자열.isalnum()
4. 문자열.upper()
5. 문자열.lower()
6. 문자열.lstrip()
7. 문자열.rstrip()
8. 문자열.strip()
9. 문자열.count()
10. 문자열.fint()
11. 문자열.split()
12. 문자열.join()
13. 문자열.replace()
14. 문자열.encode()
15. 문자열.decode()
문제401. (오늘의 마지막 문제) 중앙일보 기사에서 어떤 단어를 넣었을 때 그 단어가 몇 번 나오는지 다음과 같이 출력하는 함수를 생성하시오.
a = open("c:\\data\\mydata3.txt", encoding = 'utf8')
data = a.read()
def search_count(word):
result = data.count(word)
return '중앙일보 기사에서 %s라는 단어가 %d번 나왔습니다.'%(word,result)
print(search_count('빅데이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