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class note

(247)
python / pandas(검색, 조인, 서브쿼리, 그룹함수) 064 Pandas 를 이용한 데이터 검색 데이터 다루는 일을 할 때 쉽고 빠르게 일을 하려면 판다스를 잘 알아야함. SQL과 Pandas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필수 기술. ㅇ판다스를 이용해서 할 수 있는 것? 1. 데이터 검색 2. 데이터 시각화 3. 머신러닝 구현 # 문법 # 데이터프레임명[보고싶은 컬럼명][검색조건] 예제. dept3.csv 판다스의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하시오.(데이터프레임명 : dept) import pandas as pd dept = pd.read_csv("c:\\data\\dept3.csv") dept 문제220. 부서위치가 DALLA의 부서명(dname)을 출력하시오. dept[['dname']][dept['loc']=='DALLAS'] 문제221. 확진자별.csv로 wuh..
python / 몫, 나머지 구하기(%, divmod) 062 나눗셈에서 나머지만 구하기(%) 나누기 연산에서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 : % print(12%3) # 나머지 0 print(12%5) # 나머지 5 예제. 아래와 같이 두 개의 숫자를 각각 물어보게하고 아래의 메세지가 출력되게 하세요. 첫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1113 두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23 x = int(input('첫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 y = int(input('두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 z = x%y print('%d를 %d로 나누면 %d가 나머지로 남습니다.'%(x,y,z) ) 나머지를 구하고 싶다면 '%' 연산자를 사용하면 되괴 몫을 구하고 싶다면 '//'연산자를 사용하면 됨. print('나누기 1113/23 = ', 1113/23) print('..
python / 커피 키오스크 결산, 데이터 쌓는 함수 따로 빼기 문제216. 지금까지 만든 커피 키오스크 클래스 내에 함수는 3가지 밖에 없음. 1. __init__() 2. image() # 이미지 출력하는 함수 3. coffee_kiosk() # 커피 주문부터 여러가지 코드들이 다 들어있는 함수 그런데 coffee_kiosk() 함수에는 여러가지 기능들이 많이 있어서 코드가 잘 정리되어 있지 않음. 따라서 결산하는 코드만 별도의 함수로 만들어서 coffee_kiosk()에서는 빼려고 함. (결산 함수 이름은 machul_sum) class Coffee_Class(): def __init__(self): self.image("c:\\data\\kioskimage.png") # 이미지파일 print('키오스크 시스템을 시작합니다.') # 메뉴 설정 self.c_typ..
python / type() 061 자료형 확인하기(type) 파이썬의 자료형은 하나의 클래스 파이썬은 숫자나 문자, 문자열, 리스트, 튜플, 사전, 함수 등을 각각 하나의 클래스로 취급함. 코드를 작성하다가 변수 이름만 보고 이 자료가 어떤 자료형인지 확인해야하는 경우 이때, 파이썬 내장함수인 type()을 사용하면 자료형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음. a = 'scott' print(type(a)) # num = 7 print(type(num)) # 문제215. 아래의 리스트 변수 d를 만들고 d변수의 자료형을 확인하시오. d =[1,2,3,4] print(type(d))
python / input 060 입력받기(input) 파이썬 내장함수 input은 사용자가 키보드로 입력한 값을 문자열로 리턴함. input()의 인자는 사용자 입력을 돕기 위한 안내 문구나 힌트 등을 표시하는 문자열이 됨. name = input('사원 이름을 입력하세요 ') 문제212. 문제 211번 코드를 이용해 사원 이름을 입력했을 경우, 사원이름이 데이터에 없으면 "해당 사원은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출력되게 하시오. import pandas as pd emp = pd.read_csv("c:\\data\\emp2.csv") try: name =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result = emp['ename'][emp['ename'] == name.upper()].values[0] print(emp['sal']..
python / 예외처리 055 예외처리 이해하기 ① (try~except) 프로그램을 작성하다 보면 뜻하지 않은 오류가 발생하는 코드가 있을 수 있음.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오류가 발생하면 프로그램이 더 이상 진행될 수 없는 상태가 되는데 이를 예외사항이라고 함. 프로그램 예외가 발생하더라도 프로그램을 중단시키지 않고 예외에 대한 적절한 처리를 하여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문이 try ~ except. # 문법 # try: # 문제가 없을 경우 실행할 코드 # except: #문제가 생겼을때 실행할 코드 예제1. try~except를 사용해서 예외처리를 하지 않았을 때의 코드 def my_devide(): x = input('분자의 숫자를 입력하세요') y = input('분모의 숫자를 입력하세요') ..
python / 클래스(상속) 054 클래스 상속 이해하기 클래스를 이용해서 코드를 작성하게 되면 장점? 1. 상속 2. 같은 코드를 여러번 나열하지 않아도 됨 > 코드가 간결해짐 ex) 우리도 처음에는 커피 키오스크를 하나의 코드 안에서 키오스크 기능들을 하나씩 구현하면서 코드를 늘려나감. 점점 기능이 많아지면서 코드가 길어지게 되었음. 클래스로 구성을 해서 코드를 정리함. * 커피 키오스크 코드의 기능 - 주문 - 메뉴판 이미지 시각화 - 매출 정산 - 쿠폰적립 위의 기능들중에서 이미지 시각화 기능은 클래스 코드 내에서 여러번 반복되어서 수행되어야 하는데 그럴때 함수로 만들어놓게 되면 함수를 호출하기만 하면 됨. > 나중에 머신러닝 기능 함수를 추가하기만 하면 됨(+음성인식 기능도 음성인식 함수만 클래스에 추가하면 됨) 새로운 기..
python / 클래스(이해, 클래스 멤버/인스턴스 멤버, 메소드, 생성자, 소멸자) 049 클래스 이해하기(class) 클래스 코드 작성시 필요한 이유? "상속"때문에 필요함. 예제. 영화할인카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지금까지 만든 커피 키오스크처럼 몇 일에 걸쳐서 개발을 해야함. 기존에 카드의 기본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라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카드의 기본 기능이 있는 카드프로그램을 상속받고 나는 그냥 영화 할인코드에만 집중해서 코드를 구현하면 됨. (카드의 가장 중요한 기능들은 연차가 있는 팀장님이 만들고 card라는 클래스로 생성했다면 나는 팀장님이 만든 card클래스를 상속받고 영화 할인에 대한 코드만 생성한 후에 내가 만든 코드에 대한 클래스 이름을 movie_card라고 하면 됨.) 클래스(class)란? 설계도와 같은 것. ex) 총 설계도 (클래스) --------------..
커피키오스크+ 클래스 생성+이미지 추가 class Coffee_Class(): def __init__(self): self.image("c:\\data\\kioskimage.png") #수정 print('키오스크 시스템을 시작합니다.') def image(self,name): import PIL.Image as pilimg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 = pilimg.open(name) #수정 pix = np.array(im) plt.imshow(pix) plt.axis('off') #x,y축 없애기 plt.show() # 이미지 출력할때 넣어주면 됨 def coffee_kiosk(self): #커피 이미지 self.image("c:\\data\\coffee.png") #수정..
python / open, close 048 파일 열고 닫기(open, close) 파일은 텍스트 파일과 바이너리 파일 두가지 종류가 있음. 텍스트 파일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글자로 저장된 파일이고 바이너리 파일은 컴퓨터가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이진 데이터를 기록한 파일. 예를들어,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메모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내용을 적고 저장하면 텍스트 파일로 저장됨. 이미지 뷰어로 볼 수 있는 jpg 이미지 파일은 이진 데이터를 jpg형식의 파일로 저장한 바이너리 파일임. 파이썬에서 파일을 다루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파일을 오픈하는 것. > 파일을 오픈하기 위해서 open() 함수를 이용 file = open("c:\\data\\emp2.csv") # 문법 # file = open(파일위치와 이름, 모드) # r : 텍스트..

반응형